IP address management
구리구리 2008. 5. 21. 09:00안녕하세요 ^^/
구리구리 네트워크 시간입니다 !!
지난 시간에 IPv4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음~ IPv4의 패킷 구성에 대해서 머리에 확 들어왔다면.. 네트워크의 절반은 먹고 들어 가는거에요!!!
이번 시간에는 IP주소관리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IP들의 주소 체제 및 주소관리방식을 알아 볼 것입니다.
클래스별로 분류하고, 서브네팅 및 슈퍼네팅 등을 알아보도록 할께요…
Here we go! GOGOGO~
IP 주소 체제
-
IP 주소
-
모든 장비들이 갖는 고유한 논리적 네트워크 식별자
-
-
클래스별 분류
-
IP 주소는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식별자(netid)와 네트워크 내에서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한 호스트 식별자(hostid)로 구성
-
네트워크와 호스트의 주소 개수에 따라 다섯 개의 클래스로 구분
-
클래스 |
설명 |
클래스 A |
첫번째 비트가 '0' 인 클래스, 7비트가 네트워크 식별자 224 - 2 = 16,777,214 개의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규모의 호스트를 갖는 기관에서 사용한다. |
클래스 B |
첫번째 비트가 '10' 인 클래스, 6+8 비트가 네트워크 식별자 216 - 2개의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다. |
클래스 C |
처음 세 비트의 값이 "110"인 주소를 클래스 C 주소라고 한다. 세 번째 바이트까지가 (5+8+8비트)네트워크 식별자이고 마지막 한 바이트는 호스트 식별자이다. 클래스 C 주소는 네트워크마다 254개까지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
클래스 D |
처음 네 비트의 값이 "1110"인 주소를 클래스 D 주소라고 한다. 클래스 D 주소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호스트 식별자의 구분이 없고 전체 주소가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된다. |
클래스 E |
처음 네 비트의 값이 "1111"인 주소를 클래스 E 주소라고 하며 추후 사용을 위해 예약된 주소이다. |
-
Class A 1.0.0.0 ~ 127.255.255.255
-
Class B 128.0.0.0 ~ 191.255.255.255
-
Class C 192.0.0.0 ~ 223.255.255.255
-
전송 방법에 따른 분류
전송방식 |
설명 |
유니캐스트(Unicast) |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에게 패킷을 보내는 방식의 주소이다. |
멀티캐스트(Multicast) |
하나의 송신자가 다수의 수신자에게 패킷을 보내는 경우로 일대다 방식의 패킷 전송 주소이다. 멀티캐스트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장치가 멀티캐스트를 지원해야 하며, 원하는 그룹에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송신자가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패킷을 보내는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 주소에서는 호스트 식별자 필드를 모두 1로 설정한다. 예) 210.125.72.255 |
-
특별한 IP 주소
네트워크 식별자 |
호스트 식별자 |
목적 |
송신 |
수신 |
(예) |
네트워크 |
모두 0 |
네트워크 주소 |
불가 |
불가 |
210.125.72.0 |
네트워크 |
모두 1 |
직접적 브로드캐스트 |
불가 |
가능 |
210.125.72.255 |
모두 1 |
모두 1 |
제한적 브로드캐스트 |
불가 |
가능 |
255.255.255.255 |
모두 0 |
모두 0 |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 |
가능 |
불가 |
0.0.0.0 |
127 |
관계 없음 |
루프백 주소 |
불가 |
가능 |
127.0.0.1 |
-
네트워크 주소
네트워크 자체를 의미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네트워크를 지칭할 때 사용
패킷의 송신지나 수신지 주소로써 사용 불가
-
직접적 브로드캐스트
라우터가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로 패킷을 보낼 때 사용
수신 주소로만 사용
참조( 책 : TCP/IP 인터넷 )
-
제한적 브로드캐스트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호스트로 패킷을 보낼 때 사용
수신 주소로만 사용
참조( 책 : TCP/IP 인터넷 )
-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
-
임의의 호스트를 지칭할 때 사용
-
송신 주소로만 사용(자기의 주소로 송신가능)
-
-
참조( 책 : TCP/IP 인터넷 )
-
루프백 주소
-
주로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해 사용
-
물리 계층까지 전달되지 않고 다시 상위 계층으로 전달
-
주로 127.0.0.1을 사용
-
IP 주소 관리 방식
-
IP 주소 낭비와 부족 현상 심화
-
클래스별 분류 방식 이외의 IP 주소 관리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
-
새로운 방법 도입
-
낭비되는 IP를 줄이기 위해 서브네팅(Subnetting) 개념이 도입
-
부족한 IP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C 클래스 주소 몇 개를 합쳐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로 관리할수 있는 슈퍼네팅(Supernetting)이 제안
-
클래스를 구분하지 않는 주소 방식인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이 제안
-
-
서브네팅
-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몇 개의 작은 논리적인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
-
서브네팅에서는 호스트 식별자를 다시 서브넷 식별자와 호스트 식별자로 세분화
-
서브넷 마스킹(masking) : IP 주소로부터 서브넷 주소만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
-
-
일반적인 Class C를 두 비트의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구성하면 다음과 같음
서브네팅의 예
-
Class C인 203.252.53 네트워크를 할당받은 기관에서 6개의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
서브넷의 id가 모두 0인 것과 1인 서브넷은 특수 주소로 제외
-
총 8개의 서브넷 필요
-
-
8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므로 세 비트의 subnet id 사용
-
6개의 서브넷에 할당되는 주소의 범위는 다음과 같음
-
203.252.53.1에서 203.252.53. 31까지는 서브넷id =0
-
203.252.53.224에서 203.252.53.255까지는 서브넷id =1 이므로 사용하지 않음
-
할당된 주소범위에서 맨 왼쪽과 오른쪽은 각각 host id가 0과 1이므로 제외하고 할당
-
6개의 네트워크에 각각 30대의 호스트를 할당함
-
하나의 C 클래스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254개
-
Subnetting을 하면 6개의 네트워크로 30개씩 구성
-
즉, 203.252.53.32는 서브 네트워크의 이름이 됨
-
즉, 203.252.53.63은 서브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됨
슈퍼네팅
-
Class A와 B 네트워크의 주소 공간이 고갈
-
클래스 C 주소 사용으로 인터넷의 라우팅 테이블 규모 증대
-
C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호스트의 수는 254개로 제한
-
여러 개의 C 클래스 주소를 묶어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슈퍼네팅을 사용
-
네트워크 식별자 중 일부를 호스트 식별자로 사용하는 방법
-
8개의 통합하는 클래스 주소를 통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만들고 호스트 수는 3비트가 늘어난 11비트를 사용
추가 관리 기법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CIDR은 A, B, C 클래스별로 IP 주소를 구분하지 않고 네트워크 식별자 범위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IP 주소 운영의 융통성을 제공
-
네트워크 주소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IP 주소의 낭비를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
-
CIDR을 이용하면 도메인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IP 주소를 매우 효과적으로 관리 가능
-
예) 203.252.48.0/21 : 203.252.48.0 ~ 203.252.55.255까지 임
48 = 00110/000, 55= 00110/111
-
-
IP 알리어스(IP Alias)
-
하나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여러 개의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
한 대의 서버에 여러 개의 IP 주소를 할당해야 할 경우 하나의 이더넷 카드에 여러 개의 IP 주소를 할당하여 운영할 수 있음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