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구리'에 해당되는 글 35건

  1. 2008.08.30 IE8 Beta2 벤치마크 2
  2. 2008.08.27 DDOS란 무엇인가??
  3. 2008.08.13 Windows vista KMS 인증 서버 설치 1
  4. 2008.08.06 SQL 클러스터링-MSDTC (두번째)
  5. 2008.07.30 SQL 2005 Clustering (첫번째) 6
  6. 2008.07.23 WSUS3.0(Windows Server Update Service) 설치 3
  7. 2008.07.16 VPN(Virtual private network)이란? 1
  8. 2008.07.05 CPU overclock(오버클럭) 그것이 궁금하다2 2
  9. 2008.07.02 Windows 2008에서의 라우팅 서버 설치
  10. 2008.06.27 Hyper-V RTM Release(하이퍼-V) 2

IE8 Beta2 벤치마크

구리구리 2008. 8. 30. 09:00

ZDNet의 Hardware 2.0 블로그에서 간단한 벤치마크 실험 결과를 포스팅 해줬네요.

먼저 SunSpider의 자바스크립트 벤치마크입니다.

여전히 파이어폭스의 압승이긴 하지만.. IE 8 Beta 2도 IE 7에 비해 약 3배 가까운 성능 향상을 보여주네요.

다음은 ACID 3 테스트 결과입니다.

파폭도 완벽하진 않지만.. IE 8 Beta 2는 IE 7에 비해 별로 나아진것이 안보이네요. ACID 2는 완벽히 통과했다고 해도, ACID 3에서는 아직도 갈길이 멀어 보입니다.

아무튼 파폭때문에 경쟁이 촉발되서 IE도 이렇게까지 개발 역량을 불태우는 것이겠지요. 추후 IE 8의 정식 버전도 기대되고, 두제품 모두 멋지게 승부하면 좋겠네요.. ^^;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DDOS란 무엇인가??

구리구리 2008. 8. 27. 09:00

오늘은 ddos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DOS? 예전에 접해보던 OS인가요??
한때 확장메모리에 Qdos까지 쓰게 만들었던....
새록새록 기억이 나네요....
아참~! 이야기가 딴데로 새어 버렸군요 !!




OS 맞기도 합니다! 지금 시대에는 DOS는 OS개념보다는 해킹 쪽에 더 많이 쓰입니다.

Denial of Service 개별적인 웹서비스 공격을 뜻합니다

그럼 DDOS는? Distributed 라는 단어가 더 붙습니다.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는 많은 PC에 좀비(Botnet)로 만들어 동시에 많은 공격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DDoS 공격은 공격의 타깃이 되는 웹 서버에 서비스 장애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안정성도 위협하기 때문에 사이트 관리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이버테러의 일종인 DDoS 공격은 조직폭력 범죄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공격자가 다수의 개인 PC에 악성코드를 유포시킨 뒤 공격명령을 전달, 피해 사이트를 집중 공격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조직 보스(마스터)가 자기 밑의 수하들을 시켜 타깃이 된 사람을 집중적으로 린치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조직이 커지면 보스 밑의 중간보스가 행동대장들의 마스터 역할을 하고 다시 행동대장이 행동대원들의 마스터 역할을 하는 식으로 공격 규모는 상상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는 것이 이 공격 방식의 특징입니다. 또 공격자가 분산돼 있다는 성격 때문에 실제 공격을 한 범인을 추적하는 게 상당히 쉽지 않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그럼 당하고만 있어야 하나요? 아니요~^^

하지만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대응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보안이 취약한 PC에서부터 시작되는 DDOS공격은 마치 하나의 트리 구조로 다단계 조직처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공격이 시작되기 전이나 초기에 이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즉 PC의 보안 상태를 최적화해 이러한 공격에 대비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법이라는 것입니다.

네트워크 관리자들은 시스템 설계 당시부터 보안을 고려해 공격을 방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방화벽ㆍ침입탐지 및 방지시스템(IDPS) 등과 같은 기본적인 보안 솔루션을 설치 운영해야 합니다. 또 보안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보안 패치 설치, 시스템 분석을 통한 보안 관리를 지속적으로 하는 한편 평소 유효하지 않은 IP주소 및 악성 봇 명령 제어, 서버 도메인 등에 대한 사전 필터링 조치를 취하고 시스템 대역 폭 제한을 통해 공격을 사전 차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DRDOS(Distrubuted Reflection Denial of Service, "분산반사서비스거부")라 불리는 DDOS보다 진보한 공격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정상적인 서버(웹)접속으로 위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버(웹)의 접속 핸드쉐이킹을 가짜로 위장하는 것이며, 추적 또한 되지 않게 위장됩니다..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Windows vista KMS 인증 서버 설치

구리구리 2008. 8. 13. 09:00


무더운 여름입니다...
더위먹기에 딱 괜찮은 날씨 인것 같아요...
덥다고 에어컨 아래만 있으면 여름에 멍멍이도 안걸린다는 감기가 찾아옵니다

모두들 더위조심 감기조심하고 또! 알콜조심을 해야겠습니다 ^^

오늘은 KMS(Key Management Service)에 대한 설치에 대해 알아볼께요
KMS를 설치하게 되면 기존의 인증을 6개월 단위로 계속 받아주어야 하는데요...
큰기업에서는 아주 좋은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할까요?

  1. KMS 인증 준비,요구사항
    1. 하드웨어
      1. Server : 도메인에 소속되어 있는 서버이상의 시스템
      2. Client : Windows vista client 25ea 이상
    2. 소프트웨어
      1. Windows 2008
  2. 작업 소요시간
    1. KMS 인증 Server 구성 : 1시간
    2. Vista 설치 및 인증 시간 : 1시간
  3. KMS 인증 server 구성 방법
    1. Windows 2008 server
      1. 방화벽 설정

        제어판 – 방화벽에서 " 키 관리 서비스" 예외항목으로 선택 후 확인

        (만약 방화벽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설정 불필요)


      2. KMS 포트 설정
        1. KMS에서는 기본적으로 1688을 사용하지만, 변경도 가능
        2. 변경하고자 할 경우
          1. 시작 – regedit 실행
          2.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NT\CurrentVersion\SL
      3. Windows 2008 KMS - KMS 키로 제품 설치 및 활성화
        1. 시작-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오른쪽 마우스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합니다.
        2. 명령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Cscript slmgr.vbs -ipk xxxxx-xxxxx-xxxxx-xxxx-xxxx 입력 후 확인

          (windows 2008 KMS key 입력)

        3. 다음과 같은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Windows 2008 KMS를 정품 인증을 활성화 시킵니다. (Cscript slmgr.vbs –ato )
        4. 완료.


  4. Windows vista client 인증
    1. 도메인 환경
      1. Windows Vista Business, Enterprise를 설치 합니다.
      2. 내 컴퓨터 – 속성 – 네트워크 설정 변경- 도메인 이름에 KMS.com 도메인설정 후 재 부팅
      3. 로그온과 동시에 Windows 2008 KMS를 자동적으로 찾아 인증을 받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Vista KMS Host가 25대가 이상이 되지 않는다면, Windows Vista KMS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KMS 인증을 받으려는 시도하는 Vista Client는 오류가 메시지가 발생하면서 이벤트 로그를 남기게 됩니다.
      4. 여기서 이벤트 로그는 Windows Vista Host에서 확인을 하면, Event ID 12288,12289이 올라오면 정상적인 Windows Vista KMS Host에 연결 되어진 것은 볼 수 있습니다.



      5. 다만, Windows 2008 server 에서는 카운트가 하나 증가되는 것을 볼 수 가 있습니다. (cscript slmgr.vbs –dli)


      6. Windows Vista Client에서 정상적으로 Windows 2008 KMS에 연결 상태를 볼 수도 있습니다.(Cscript slmgr.vbs –dli)


      7. Windows 2008 KMS가 25대 이상의 Vista Client 부터 요청을 받게 되면, 홗성화 되어, 다음과 같이 Client는 정품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 Vista KMS 인증 Client는 최소 25대가 되어야 사용 가능하며, 만약, 테스트등으로 Vista KMS 를 구성하고자 한다면, 실재 PC를 사용하고, Vista를 설치하여 인증을 시도하여 카운트를 높여야 합니다. Sysprep.exe 이나, Virtual 이미지, NewSID Tool로 불가) 내 컴퓨터 – 속성을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ask for Genuine Microsoft software" 인증 마크를 볼 수가 있습니다.

    2. Workgroup 환경
      1. Windows Vista Business, Enterprise를 설치 합니다.
      2. WORKGROUP 환경의 Vista Client 들은 자동으로 인증이 불가 하기 때문에 직접 적으로 명령 프롬프트에서 스크립트를 실행 해주어야 합니다.
      3. Windows 2008 KMS 등록

        (cscript slmgr.vbs –skm <KMS 이름>: 1688)


      4. Windows 2008 KMS로 부터 정품 인증 요청
        (cscript slmgr.vbs –ato)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SQL 클러스터링-MSDTC (두번째)

구리구리 2008. 8. 6. 09:00

지난 시간에 이어서 SQL 클러스터링 두 번째인
MSDTC에 대해서 하나하나 진행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SDTC가 뭘까요?
마이크로소프트 분산 트렌젝션 코디네이터 입니다
말 그대로 분산을 해주는 리소스 입니다

1. MSDTC 그룹설정
 

- MSDTC 그룹선택 – 새로만들기 – 리소스

   

     

 만들어진 디스크를 넣습니다    

 

  MSDTC 주소를 넣습니다 NetBIOS 사용에 체크!
  주소 만들기를 마칩니다.    

  MSDTC 그룹선택 – 새로만들기 – 리소스    

   

 종속성을 추가합니다.    

 

DNS등록 필수에 체크 후 마칩니다    

 MSDTC 그룹선택 – 새로만들기 – 리소스  

     

     

 구성요소 서비스에서 원하는 요소들을 체크합니다.    

그룹이동을 해보면 소유자가 변경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SDTC 설치가 모두 끝났습니다^^
다음은 SQL설치 과정만이 남아있습니다
세번째 SQL클러스터링은 SQL프로그램 설치입니다 ^^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SQL 2005 Clustering (첫번째)

구리구리 2008. 7. 30. 09:00

안녕하세요 ^^
오늘은 SQL 클러스터링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할께요…
클러스터링이 무엇인가 하면…. Fail-over와 같은 개념입니다.
즉!, 컴퓨터 한대가 죽으면… 다른 한대가 그 리소스를 받아와서 동작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준비물은…. SQL서버 2Ea, AD서버, 스토리지(3개의 SCSI HDD), 스카시카드 6개 등 입니다

자 그럼 한번 시작해 볼까요??

[서버 클러스터 구성정보]

구분

네트워크

디스크

외부

내부

SQL_A서버

192.168.100.110

20.10.10.110

5G

SQL_B서버

192.168.100.111

20.10.10.111

5G

SQL_DATA

192.168.100.112

 

1G

Qurum

192.168.100.113

 

512M

MS_DTC

192.168.100.114

 

512M


1. 컴퓨터 및 네트워크 구성설정

우선 SQL_A서버부터 설정합니다.(이때 SQL_B서버를 같이 켜시면 안됩니다.)
클러스터 구성 정보와 같이 IP를 입력합니다.
로컬영역연결2 부분에는 20.10.10.110의 fail-over IP를 입력합니다.

2. 도메인 가입

도메인에 가입합니다 참고로 joong-go.com 이라고 ad를 올렸습니다 ^^(앞으로의 사업?)

3. 디스크 할당 및 포멧

디스크를 기본 디스크로 만듦니다.(동적 디스크 안돼요)
확인한 다음 포멧을 진행합니다 각각의 볼륨은 사용자가 잘 알아볼 수 있는
SQL = S: , Qurum = Q: , MS_DTC = M: 로 지정합니다
위 구성과 마찬가지로 SQL_A서버 종료 후 SQL_B 서버를 동일하게 구성합니다.

4. DTC 구성요소 설치 진행

DTC와 COM+를 설치합니다(A, B 둘 다 설치 합니다)


5. 새 클러스터를 만들어요

만들 때는 시작 – 실행 – cluadmin(클러스터 관리자) 이라고 입력합니다

6. 클러스터를 만들려면 관리 할 수 있는 클러스터 이름을 넣어주세요


7. 첫 번째 노드의 클러스터는 아래와 같습니다


8. 구성요소들의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9. 클러스터 IP를 넣습니다 (192.168.100.112)


10. 클러스터 관리할 관리자의 계정과 ID를 입력합니다


11. 쿼럼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12. 클러스터 설치 완료

클러스터 마법사가 완료되면 SQL_B서버의 전원을 ON합니다


13. SQL_A에서 SQL_B로 노트 추가하기

파일 – 새로만들기 – 노드를 클릭하여 A->B 노드를 추가 합니다.




구성이 완료되었습니다 ^^
처음 구성하는 것이라 많이 어려운 점도 있었는데요.;..
시행착오를 겪고나니 이정도 쯤이야 하더군요… ^^

다음시간에는 나머지 부분,.. DTC 리소스 구성방법과 SQL server설치 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보여드릴께요….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WSUS3.0(Windows Server Update Service) 설치

구리구리 2008. 7. 23. 09:00

WSUS 3.0은 기존 웹기반 관리에서 콘솔기반 관리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는 Report기능을 더욱 보완하려 한 것 같은데요… Report기능이 좋아졌습니다
예전 SUS에서 windows 및 office, servers등의 보안 업데이트로 진화했습니다.

준비물은 WSUS(Windows Server Update Service) 3.0설치 시 IIS와 .NET Framework 2.0 이상이 필수로 있어야 합니다. 또한 wsus3.0이 있어야겠죠? 앙꼬없는 찐빵은 찐빵이 아니랍니다 ㅎㅎ

설치 시 약 6기가 이상의 하드 디스크 여유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는 서버로써 업데이트 파일을 받아 놓기 위함 입니다.
위의 설정이 끝났다면 WSUS의 구성 마법사로 보다 편하게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서 하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


업데이트 개선 프로그램에 대해서 참여 할 것인지 물어 봅니다….
저는 개선 참여로 해 놓았습니다

업데이트 내용을 동기화 하는 내용입니다. 즉, microsoft의 서버와 동기화 할 것인지 다른 WSUS와 동기화 할 것인지 물어보는 내용입니다. SSL설정과 미러링도 가능합니다.

동기화 할 때 프록시 서버사용 여부를 체크합니다.

앞의 구성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진행 할 업데이트 정보에 대해서 다운받습니다.

언어를 선택합니다. 클라이언트들이 필요로 하는 언어들만 다운받아 놓는 것이 좋겠지요?

다음 업데이트를 할 제품들은 지정합니다…


등급을 결정하는 란 입니다. 음… 드라이버는 기본적으로 체크가 안되어 있네요…

동기화 일정을 선택합니다. 서버 제품군은 주로 저녁에 동기화 하는 것이 좋겠지요?
저는 오후 11:59:59 에 동기화 합니다.

마쳤습니다. 이제 WSUS 관리 콘솔로 관리를 하고, 처음 동기화 시작을 하게 됩니다.

다음 항목 검토를 해야 합니다.

다음주에는 WSUS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할께요...
처음 접하는 WSUS 상당히 기대가 큽니다 ^^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VPN(Virtual private network)이란?

구리구리 2008. 7. 16. 09:00

안녕하세요 ^^ 박원근 입니다

오늘은 VPN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당신에게 VPN이 무엇이냐 라고 물으면… 과연 어떠한 답이 나올까요?
물론 정답은 많습니다. 하지만 그 답을 모두 말하려면 긴 시간에 걸쳐서 설명해야 겠죠?

제가 생각하는 VPN이란 가상사설망 입니다
말 그대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가상, 사설 망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많은 업체에서 VPN을 쓰고 있으며, 많은 VPN업체가 있는데요
지금부터 VPN을 사용하는 이유와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

공중망과 사설망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요?

공중망(Public Network)

사설망(Private Network)

전화망이나 인터넷처럼 모두에게 공개

특정 조직 내에서만 사용되는 네트워크

어느 누구와 언제든 정보 교환가능

인증된 자만 사용

보안성 취약

보안성 우수

IP등의 공인된 표준을 따르는 통신 방법 채택

거리에 따른 설치비용 부담

 

관리 비용 부담

보안이 우수하고 인증된 사용자만이 사용하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사설망을 쓰고 있습니다

그럼 VPN의 정의를 내려보겠습니다

1.공중망을 이용하여 사설망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한 망

2.공중망 내에서 마치 전용선 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한 망

3.데이터 암호화 및 사용자 인증, 사용자 액세스 권한제한을 둔 망으로 보안성이 우수


위와 같이 정의를 내려 볼 수 있겠네요…

그럼 VPN의 장점은 뭐가 있을까요?

가장 큰 이유는 구축 비용의 절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용회선을 사용하게 되면 엄청난 비용의 설치 비용과 유지 관리 비용이 들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VPN을 사용하게 되면 공중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살대적으로 적게 듭니다.

그럼 여기서 VPN의 기능은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뭔가 좋은 이점이나 기능에 장점이 있어야 쓰지 않겠나요?
공중망을 이용하면…. "보안에 취약할 텐데"…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요…

1.IP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 기밀성, 무결성, 근원인증, 액세스 제어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2.터널링,인증,그리고 암호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부가적으로 라우터나 방화벽에서 제공하는 일부 보안기술도 병행하여 VPN을 구성 가능합니다.

터널링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특정 프로토콜로 캡슐화 하여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밀성 =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전송도중 데이터의 내용을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보았을 때, 그 내용
              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암호화 하여 전송합니다.
무결성 = 데이터의 송,수신 도중 데이터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기능으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보장합니다.
근원인증 =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수신측이 수신한 데이터가 원래의 송신자에 의해서 전송되어 졌음을 확인 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합니다.
접근통제 =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기능으로 협상 내용을 모르는 제 자는 접근할 수 없게끔 하
                 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위 4가지의 기능은 보안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그러한 존재들 입니다 간단하게나마 알아주시는 것이 꼬~~~옥 필요합니다. 보든 보안시험 등에 출제가 됩니다 ^^ 출제가 안 된다고 해서 너무 나무라진 마시구요 ^^

VPN은 어떠한 토플로지를 가지고 있을까요? 음~~~

허브형과 완전 그물형이 있는데 허브형 같은 경우 구축비용이 저렴하나, 중앙사이트에 몰리기 때문에 과부하? 의 결과를 초래 할 수 있으며 속도도 많이 느립니다.

완전 그물형 토플로지는 구축비용을 자소 비싸나 중앙사이트를 통하지 않고도 언제든디 이용 가능합니다.

이렇게 간단히 VPN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이 시간에는 VPN의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무더운 여름날씨에 항상 건강하세요!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CPU overclock(오버클럭) 그것이 궁금하다2

구리구리 2008. 7. 5. 09:00

지난 시간에 이어서 기본적인 오버클럭 방법을 알아봅시다..

대다수의 시스템에서 통용될 그런 기본적인 오버클럭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클럭을 올리는 방법

CPU의 클럭은 유치원생도 알고 있을 기초적인 공식으로 계산되는데, 배수(Multiplier, CPU Clock Ratio, Ratio) 곱하기 FSB(Front Side Bus), 이렇게 결정됩니다. 따라서 배수가 13이고 FSB가 200MHz라면 그 CPU의 클럭은 2.6GHz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나 FSB를 올려준다면 클럭 역시 같이 올라가게 되며, 이것이 바로 오버클럭을 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코어2듀오 이전의 CPU는 배수가 고정되어 있습니다(이를 배수락이 걸렸다고 표현 합니다). 예전에는 AMD에서 나오는 CPU는 배수를 고정하지 않았고, 그 전에는 인텔에서 나오는 CPU도 배수를 고정하지 않았으며(초기 펜티엄 때입니다..), 그보다 더 전에는 배수라는 개념 자체가 아예 없었습니다.(386 때던가...)

일반인들이 구하기 정말 힘든 ES(Engineering Sample) 버전이나 AMD 애슬론 FX 계열의 CPU는 배수가 풀려 있고, 애슬론64 프로세서나 몇몇 고급형 인텔 메인보드에서는 하향 조절(13을 11로 줄 수 는 있지만 15로 줄 수는 없단 소리입니다)이라는 부분적인 조절만 가능합니다. 올려도 시원찮을 판국에 내린다니 그게 무슨 상황인지 이해하지 못하실 분들 계실 텐데, 배수를 올리는 것 보다는 FSB를 올리는 쪽이 체감 성능 향상이 더 크며, 배수를 낮추면 어느 정도 FSB를 올릴 수 있는 한계가 더 늘어납니다. (CPU의 구조상 내리는 대로 족족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하여간 보통 배수는 건드릴 수 없기에 외면을 당하게 되어, 지금 CPU의 오버클럭이라고 하면 곧 FSB 오버를 가리키는 것이 됐습니다.

FSB는 CPU와 노스브릿지(Nortbridge) 사이의 연결 통로 이지만, 오히려 그 통로의 속도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CPU의 L2캐시와 노스브릿지의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연결 통로가 되겠고, 소켓 754/939를 쓰는 AMD의 CPU는 메모리 컨트롤러가 CPU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보드에 비해 노스브릿지의 역할이 많이 줄어들어... 개념 설명을 하지만 끝이 없으니 대강 줄이겠습니다;;; (사실은 다 설명할 밑천이 없습니다 ㅋㅋㅋ)

어쨌건 FSB를 높이면 CPU 오버클럭이 된다라는 말 한마디를 하기 위해 이렇게 길게 썼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게 오버의 전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2. FSB의 조정 수치

FSB는 올리는 대로 족족 올라가는 것은 절대로 아니며 모든 컴퓨터가 올라가는 값이 딱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닙니다.(만약 그랬다면 이 글을 쓸 필요가 없겠지요...)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품들이 한데 모여 작동하면서, 그 부품들 고유의 특징이나 한계가 서로 모여, 결국 시스템마다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즉, 흔히들 말하는 CPU나 메인보드의 수율에 따라서 FSB를 얼마만큼 올릴 수 있는지 결정이 되는 것입니다. 이 '수율'이란 단어는 원래 '제품 제조 과정 중에서 합격품이 나오는 비율'이란 의미였지만, 지금은 '오버율' 정도로 그 뜻이 변해버린 단어입니다. (수율이 좋다->오버가 잘 된다. 수율이 안 좋다->오버가 잘 안된다)

그렇다면 내 CPU는 오버가 얼마나 되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직접 FSB를 올려가면서 테스트를 거쳐 한계를 찾아내는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 '수율'은 부품마다 전부 다를 테니까요...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결과를 보고 참고할 수는 있습니다. 왜냐하면 제작 방식과 작동 조건이 같은 이상, '수율'은 거의 비슷할 테니까요.

이곳의 글을 참고하면 저런 시스템에서 저 정도 오버를 하였으니 내 시스템에서는 어느 정도 오버가 될 것이다...라는 일종의 가이드 라인을 정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위에서 이미 말했듯이 CPU를 비롯한 여러 부품들의 수율은 제각기 다릅니다

그렇기에 오버가 잘 안된다고 해서 '나는 왜 뽑았다 하면 뿔딱인가' 하면서 이슬이를 벗삼아 신세한탄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아주 당연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뿔딱: 오버가 잘 안되는 CPU/메인보드/램/그래픽카드 등등을 가리킵니다)

3. FSB를 올리면 생기는 부작용 1. AGP/PCI 클럭

시중에서 판매되는 CPU의 FSB는 일정한 수치가 있습니다. 100, 133, 166(AMD만), 200MHz 같은 식인데 이 클럭대로 FSB를 올리는 것을 정규 클럭 오버라고 합니다. 예를 들자면 100에서 133으로, 133에서 200으로 올리면 정규 클럭 오버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100에서 133으로, 133에서 200으로 올리는 건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닙니다. 또 200이상으로 올리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따라서 보통은 이런 정규 클럭 오버 대신 비정규 클럭 오버를 하게 됩니다.

비정규 클럭 오버는 위의 숫자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경우가 전부 해당됩니다. 153이라던가 231이라던가... 그런데 이런 비정규 클럭 오버 방식으로 FSB를 올리면 FSB만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같이 올라가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AGP, PCI, PCI-E 버스의 클럭입니다.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은 최소한 AGP, PCI, PCI-E가 뭔지 알고 계시리라 믿고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앞으로 나올 내용을 이해하기가 너무 힘들테니..)

문제는 AGP/PCI 클럭이 올라가면 AGP와 PCI에 연결된 부품들(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 랜 카드, 모뎀, 하드디스크, 기타 여러 가지...)이 이상증세를 보이거나, 극단적인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CPU 클럭도 억지로 올리는데 괜찮겠지, 조금 정도는 올라가도 상관 없겠지, 그렇게 금방 고장이 나진 않겠지, (제일 심한 경우)AGP/PCI 클럭을 올리면 거기에 연결된 부품들도 전부 오버가 되서 성능이 더 좋아지겠지...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AGP와 PCI의 클럭은 기본값인 AGP:66, PCI:33에서 변하면 안 됩니다. (정확히는 66.66666666...과 33.33333333... 무한 소수입니다.)

그렇다면 FSB를 올리면 AGP/PCI 클럭이 자동으로 같이 올라가는데 AGP/PCI 클럭을 기본값 66/33으로 반드시 고정하라니 어떻게 오버클럭을 하란 말인가...하고 생각하실 텐데, 요즘 나오는 많은 메인보드들은 이 AGP/PCI 클럭 고정 기능을 갖추고 있어, FSB 값과 상관 없이 AGP/PCI의 클럭을 66/33으로 유지시켜 줍니다. 따라서 이 기능이 있는 메인보드를 쓴다면 이 문제는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만약 메인보드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메인보드를 바꾸거나 오버를 포기하거나 둘 중 하나겠지요.

요즘에는 AGP를 대신하여 PCI-E를 사용하는 메인보드가 많이 나왔습니다만 PCI-E 클럭은 이야기가 좀 다릅니다. 얼핏 보면 AGP/PCI 처럼 기본 값으로 고정해야 될 것 같은데... 문제는 PCI-E 클럭을 기본값인 100으로 고정했을 경우, 오버가 잘 안되거나 심지어는 오버가 아예 안 된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Windows 2008에서의 라우팅 서버 설치

구리구리 2008. 7. 2. 11:13


지난 시간에 라우팅 테이블 갱신 과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윈도우 서버에서 라우팅 서버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고 RIP프로토콜 설정하는 법까지 알아볼께요…

1. 라우팅 서버설치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실행이 필요하므로 아래 그림과 같이 windows 2008 server에 역할 추가 마법사를 띄웁니다

네트워크 정책 및 액세스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서비스에 체크 후 다음을 누릅니다.

어떠한 것들이 설치되는지 확인 후 설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설치가 진행되며, 결과를 확일 할 수 있습니다.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설정 기능을 돕는 도구를 선택하여 실행되면 서버의 라우팅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 콘솔 트리에서 원하는 서버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구성 및 사용을 클릭을 합니다. 이후 마법사가 진행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을 진행합니다.

설치 마법사를 끝내면 아래 그림과 같이 라우팅 기능 설치 유무를 확일 할 수 있습니다.


 

2. RIP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

윈도우 서버 2008애서는 RIP를 기본적으로 구현하고 있고 RIP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IPv4를 사용하고 있다면 IPv4에서 새 라우팅 프로토콜을 선택 후 인터넷 프로토콜용 RIP 버전 2을 선택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 선택한 이후에는 RIP프로토콜을 동작할 인터페이스를 설정하여야 합니다. RIP에서 새 인터페이스 지정 후 로컬 영역연결의 IP를 지정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속성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로컬영역 연결의 속성을 선택합니다

일반탭의 작동모드는 사용가능한 동작모드를 자동 고정 업데이트와 정기적 업데이트 모드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동 고정 업데이트는 다른 라우터가 업데이트를 요청할 경우에만 RIP 갱신 메시지를 보내고, 정기적 업데이트는 "고급"탭에 있는 정기 알림 간격에 지정된 간격에 따라 RIP알림을 주기적으로 전송합니다.

송신 패킷 프로토콜과 수신 패킷 프로토콜은 나가고 들어오는 RIP 갱신 메시지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의 목록을 지정합니다. 경로 추가비용은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을 보내는 것과 관련된 비용을 지정합니다.

보안 탭의 동작에서는 경로를 받아 들이거나 알리는 방법에 대한 보안을 설정합니다.

고급 탭의 정기 알림 간격 에서는 RIP 알림 간격을 지정하며 다음시간 후에 경로 만료에는 RIP를 통해 인지된 경로의 수명을 초 단위로 입력합니다. 설정된 시간 내에 경로가 갱신되지 않으면 경로가 만료되어 유효하지 않은 경로로 표시 됩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추가해서 RIP 라우팅 프로토콜이 설치되어 있는 인접 라우터를 볼 수 있습니다.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

Hyper-V RTM Release(하이퍼-V)

구리구리 2008. 6. 27. 09:00

안녕하세요. 구리구리 입니다.

 

금일 포스팅이 예정되어 있던 엘도라도님이 긴급 장애 지원 건으로 거의 정신을 잃고 계셔서,
제가 대신 해서 포스팅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내용은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 RTM에 대한 내용인데요.
정말 깜짝~ 전격~ 출시가 되었네요..

 

MS는 6 26(현지시간) 단일 서버를 복수의 별개 서버로 가상화할 수 있는 기술인 '하이퍼-V(Hyper-V)'를 개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MS는 지난 2월 출시된 '윈도서버2008' 출시 이후 180일 이내에 '하이퍼-V'를 출시하겠다고 했던 당초 약속을 지키게 되었는데요. MS는 지난 3월 정식버전에 가까운 '공개 후보'버전(RC1)을 제공하고 이후 626 Hyper-V RTM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약속된 기일보다 1달 반정도 일찍 나왔는데 7 8일부터 자동 업데이트가 될 예정입니다.

 

MS '하이퍼-V' 개발로 VM웨어 제품을 포함한 많은 가상화 경쟁기술들에 맞서나갈 계획인데요 앞으로 virtualization 시장이 치열해 질 것 같습니다..

 

아래는 Hyper-V와 관련된 다운로드 링크 입니다 참고하세요 ^^

다운로드 링크

Windows Server 2008 x64 Hyper-V RTM Update – KB950050 

This updates the Hyper-V host/parent/server components, including all the server components, Hyper-V Manager UI, and the vmguest.iso
which has the integration components's for all of the Microsoft guest OS's (including the newly supported ones).

Windows Server 2008 x86 Hyper-V RTM Update – KB950050
This updates the Hyper-V Manager UI (for remote management) as well as the integration components
– if you want to produce slipstream Server 2008 images with the RTM Hyper-V components this is the update you need.

Windows Server 2008 x64 Hyper-V RTM Update – KB951636
What there's two updates?  This is the supplementary language pack for Czech, Hungarian, Korean, Polish, Portuguese (Brazil), Portuguese (Portugal), Russian, Swedish, Turkish, Chines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ese (Taiwan), Chinese (Hong Kong S.A.R.). 
The link above will take you to the KB with installation instructions.

Windows Server 2008 x86 Hyper-V RTM Update – KB951636
Same as above… just half the bits (get it 32 vs 64 – yeah I went there).

Update for Windows Vista x64 – KB952627
Hyper-V Manager for Vista x64

Update for Windows Vista – KB952627
Hyper-V Manager for Vista x86

Hyper-V RC1 to RTM Upgrade Considerations

*Saved-state files are not between RC1 and RTM releases of Hyper-V. 
AGAIN saved-state files
ARE supported between RC1 and RTM – but not RC0 and RTM.

   

새로워진 사항 및 지원되는 운영체제

추가된 사항 : Windows 2000 Server/Advanced Server, Windows XP x64 (1/2CPU), Windows Vista x64 SP1 (1/2CPU), Windows Server 2003 x64 2CPU.

 




보이세요?? 나는 지금도 여전히 도전하고 있습니다!!
Always Smile ^___________^

: